본문 바로가기

세계문학

낙하하는 저녁, 에쿠니 가오리 리뷰 , 아이유가 읽은 책

 

<냉정과 열정사이>로 유명한 에쿠니 가오리의 소설을 읽었다.

낙하하는 저녁. 

헤어진 연인과 상실에 대한 이야기다.

그런데 연인에 대한 이야기가 주가 아니라

전 연인이 새롭게 사랑하는 사람인 하나코와 주인공 리카에 대한 이야기라고 보면 될듯하다.

 

 

 

 
낙하하는 저녁
에쿠니 가오리의 『낙하하는 저녁』. 일본에서는 1996년에 출간됐으니 만 21년, 딱 성년이 된 소설이다. 이 오래도록 사랑받은 소설을 새롭게 선보이기 위해 소담출판사와 번역가 김난주가 책 전체를 공들여 손봤다. 번역가 김난주는 개정판 작업을 위해 원문 전체를 다시 살피고 번역 문장을 시대 흐름에 맞게 다듬었다. 그는 “이 책의 초판을 번역할 당시보다 나이가 좀 더 든 지금, 리카와 다케오와 하나코 이야기가 참 다르게 와닿았다”면서 “다시 읽으니 새삼 정말 좋은 작품”이라고 거듭 말했다. 세 주인공 리카, 다케오 그리고 하나코의 이야기에는 ‘사랑 이야기’라는 말만으로 정의내릴 수 없는, 한층 깊은 구석이 있다. 대학 시절부터 친구도 제대로 사귀지 않은 채 다케오하고만 깊은 관계를 맺어온 리카. 8년간 동거한 다케오가 갑자기 “나 이사할까 봐”라며 이별을 통보하는데, 이유는 만난 지 4일 된 여자 하나코 때문이다. 책 본문을 인용하자면, 태생적으로 남녀를 가리지 않고 ‘페로몬을 바바바방’ 뿌려대는 하나코는 누구나 그녀를 좋아하지만 정작 자신은 사람이건 물건이건 무엇에도 애착이 없다. 리카는 다케오와 헤어진 뒤에도 전화로 일상을 공유하고, 다케오의 흔적을 음미하고, 하나코조차도 ‘다케오의 새로운 일부’로서 받아들인다. 다케오는 리카에게 혼자서는 월세를 감당하기 힘들 테니 어서 너도 이사하라고 말하지만, 리카는 다케오와 함께하던 날들을 잃지 않기 위해 높은 월세를 꾸역꾸역 감당하며 버틴다. 어느 날, 하나코가 불쑥 나타나 함께 살겠다고 선언하면서 두 여자의 기묘한 동거가 시작된다.
저자
에쿠니 가오리
출판
소담출판사
출판일
2017.10.30

 

 

 

간단한 줄거리를 소개하자면,

주인공 리카는 다케오와 8년을 연애했고 함께 동거했는데

어느 날 갑자기 다케오가 이사를 하겠다고 한다.

 

물론 리카와 함께가 아닌, 자기 혼자만 이사하겠다고 말했다.

헤어짐의 통보였다.

 

알고보니 다케오에게는 좋아하는 여자가 생겼다.

하나코라는 여자였다.

하나코는 순전히 제멋대로인 여자다.

좋게 말하면 바람같은 여자다.

불현듯이 나가 짐작하지도 못할 때 돌아온다.

 

 

영화 낙하하는 저녁 중

 

리카는 다케오가 새로 구한 집을 들르는데

그곳에 있던 하나코를 발견한다. 

리카는 다케오와 하나코가 함께 살기로 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8년의 세월이 야속한 순간이다. 

 

하지만 이후 하나코가 리카의 집으로 와

월세를 낼테니 함께 살자고 하게 되는데······.

(갑자기??)

 

 

 

이야기에서 하나코는 미워하고 싶지만 미워할 수 없는 여자로 묘사된다.

남자들의 집에 얹혀 살며 떠돌이 생활을 하는 하나코는

카츠야의 가정을 박살내기도 하지만

항상 하나코는 필요에 의해 얹혀살 집을 구했고

남자들은 하나코를 사랑해서 늘 그녀의 뒤를 좇는다.

 

리카는 그런 하나코를 미워하기보다

보듬어준다.

 

 

책을 읽으며 이해가 안갔던 부분이 많았는데

결국 마지막엔 이해할 수 없었던 인물인 하나코의 비극으로 결말이 난다.

 

 

작가는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인물에 대해 쓰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도 읽기 쉬운 소설이라 

순식간에 다 읽어버린 책.

이해는 안가는 부분이 많지만 재미는 있다.

 

 

이 소설은 스쳐 지나가는 혼의 이야기 입니다.
혼이 스쳐지나가는 그 순간의 이야기.

그리고 또 곱지 못한 마음의 이야기입니다.
곱지 못한 마음이란 미련과 집착과 타성, 그런 것들로 가득한 애정.

- 작가 후기

 

 

 

낙하하는 저녁이라는 책의 제목은

언제나 상실과 가깝게 마주해야 하는 주인공 리카의 마음을 대변한 제목이 아닌가 생각한다.

'불륜'이라는 소재를 소설로만 바라볼 수 없는 사람들에겐 추천하고 싶지 않은 소설.

뇌를 비우고 봐야한다.

 

보는 내내 리카가 부처님이 아닌가 생각하게 되었다...

 

 

이별의 상실?보다는 

두 여자의 우정?과 같은 애매한 관계가 인상적인 묘한 소설이다.

<소울메이트> 영화가 생각나는 소설이었다.

 

 

 
소울메이트
“날도 더웠고 수업도 지루했고.. 그렇게 졸리고 나른하던 날에 너를 처음 만났어” 1998년, 처음 만났다  “누굴 좋아하면 용기내야 된대” 2004년, 첫사랑이 생겼다 “몰랐어? 나 원래 이렇게 살아” 2010년, 각자 어른이 되어간다“가장 그리운 건…너였어”2014년, 흔적을 따라간다“이젠 니 얼굴을 그리고 싶어. 사랑없인 그릴 수조차 없는 그림 말이야”지금, 그리움을 그리다2023년 3월 15일, 당신의 <소울메이트>가 찾아옵니다.
평점
8.5 (2023.03.15 개봉)
감독
민용근
출연
김다미, 전소니, 변우석, 김수형, 류지안, 허지나

 

 

 

 

 

 

 

아이유가 읽었다는 책으로도 유명한 낙하하는 저녁.

읽으면서 그녀의 잔잔한 감성이 느껴지기도 했다.